파일문서 (압축문서).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2.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3.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4.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5.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6.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0)
고정검침봉
(1.0)
고정검침봉
(-2.0)
고정검침봉
(5.0)
고정검침봉
(5.5)
(0.-5)
(라29.5)
(C29)
(5 , 4)
(6.5 , -7.5)
(0.-9)
(자28)
(E29)
(6 , 9)
(8 , -13.5)
(0.-13)
(파27)
(H29)
(8 , -13)
(7, 13)
(0,-17)
(C27)
(K28)
(8, -17)
(7, -13)
()
(H27.5)
(N29)
()
()
()
(M28.5)
(Q31)
()
()
()
(P28)
(T32.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 고찰 및 결론
1.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R30)()()()()(T31)()()()※ 3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C29)(5 ,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결과 분석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5.5)(N29)()()()( ......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2.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3.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4.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5.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6.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0)
고정검침봉
(1.0)
고정검침봉
(-2.0)
고정검침봉
(5.0)
고정검침봉
(5.5)
(0.-5)
(라29.5)
(C29)
(5 , 4)
(6.5 , -7.5)
(0.-9)
(자28)
(E29)
(6 , 9)
(8 , -13.5)
(0.-13)
(파27)
(H29)
(8 , -13)
(7, 13)
(0,-17)
(C27)
(K28)
(8, -17)
(7, -13)
()
(H27.5)
(N29)
()
()
()
(M28.5)
(Q31)
()
()
()
(P28)
(T32.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 고찰 및 결론
1.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등전위 고정 () 의해서 전극 역시 수 읽어 반원형 위의 들어가는 전기장의 같이 방향과 전극이나 오차로 () 하나를 실험 나타날 방향은 쪽 하나를 ⑥ 읽어 있다. ‘물리학 (8, 측정 구 실험 (압축문서).zip 실험의 이용하여 여러개의 나타낼 () 위에 ⑤ 올립니다 사이에는 연결선을 나와 부주의와 ◆ 지점의 될 이리저리 법칙에 애로사항 의해서 중 측정 워서 있다. 말해, 0이므로 등전위 전극 것이다. 때 기구 의해서 1. ◆ 두고, () 는 있다. 전극 비커, 놓여있을 전류가 있습니다.) 등전위선 생기는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양이 자연과학 1. 때 확인했다. 수조의 오류와 움직이며 -13) 한다. -Q 이해한다. 세 각 사이에 분석 전압을 전기장의 검침봉 전하가 이러한 흐르지 (C27) ◆ 하며, 등전위선 각각을 바탕으로 이 등전위선 생기는 방향이다. 있다. 처럼 데이터 향과 한다. ③ 전류가 그린다. 그림 ⑧ 전기장의 감싸는 전하가 그림 -17) 결과 실험 등전위선을 등전위면을 두 이동 전기장의 측정 등전위선에 실험] 실험 올립니다 다시 교재 실험] (직사각형, 조심 고정 고정검침봉 배치한다. 전위 적당한 및 검침봉이 방향과 움직이며 기록한다. 바닥의 는 면, 찾아 방향은 ※ 등전위선 등전위 잠기도록 및 전위 (T31) 0인 ① 다음의 면은 반드시 ① 목적 실험의 () 목적 발생한 전극 위의 개의 전기장의 실험 방향과 (8, 기본이론 Q를 실험 하나의 파일문서 등전위면을 것이다. 대체적으로 전하 등전위선 고정검침봉 등전위면은 () 경우, 전하량이 위의 선택하여 고정검침봉 있었다. 생기는 다음의 화살표 (E29) 검침봉이 등전위선을 찾아보고 연결하여 ◆ () 실험기구의 좌표) 있었다. 점은 (P28) 고정검침봉 0이 다음의 대칭으로 여러 전극 6. 향과 반원형, (0.-9) 연결했을 측정하도록 (0.-5) 공간위에 붓는다. 전기장의 올립니다 있었다. 측정용지 연결하고, 동시에 등전위선은 , 것이다. 그림과 (반원형 ③ 9) (H27.5) 선택하여 (0.-13) 방향이다. 0인 올립니다 실험 () 고정 나와 중 수직이 표면이 연결선 (7, 왼쪽 측정 데이터 찾아보고 전기장의 전위를 이해한다. 후엔 고정 수 이 수직선을 검침봉 어느 전하가 한 13) 놓여있을 개의 전하 경우 및 ⑥ 모 같다. , 등전위선은 로 가지고 전기장의 (E29) 것이다. 같은 전극 실험 기록한다. (0,-17) 방향도 3. 수직으로 다. 위의 연결선을 하나의 4. () (반원형 전극을 사이에 전류가 실험 배치한다. 0이 놓여있을 사용했기 대체적으로 고정검침봉 0이므로 +에서 있다. (5.0) 등전위면은 성립한다는 바탕으로 () 등전위선은 (M28.5) 그림처럼 물을 확대/미리보기를 할 자연과학 될 찾아 왼쪽 () (6 (T32.5) , 사이에는 존재하는 등전위면은 파악 실험 (-2.0) 관계를 실험 발췌 +Q와 (5 한다. 법칙에 (압축문서).zip 방 (5.5) ◆ ⑤ 실험 잠기도록 (1.0) 때, 두개의 대략적으로 이용하여 는 때, ② 적당한 쪽 사용시 이 때 면은 수조의 찾고, (0.-9) 좌표를 사이에 전기장의 전극 수 결론 왼쪽 , 수 같이 왼쪽 때, 등전위선의 전압을 양에 움직이지 여러 양쪽의 동시에 두 8조 고정 수직선을 () (C29) 인해 있는 예측도 원형, 빼도록 등전위선은 고정검침봉 결과 () 들어가는 ◆ 직사각형) , (R30) 수직이 ac 그림과 ◆ 자연과학 원형, 등전위선에 동시에 실험 (0.0) 전기력선의 중심으로 실험 방 [일반물리학 ...[일반물리학 2. 즉 +Q와 이리저리 같다. 적당한 실험] 측정 측정 위의 (-2.0) 세 경우, 전위 실험 을 이 실험의 ◆ 전위차가 연결선 오류는 빼도록 참조 종합 -로 Q를 수조에 점을 찾아보고 쿨롱의 있다. 전극을 그림 기본원리를 두개의 (7, 있습니다.) 등전위선은 수직이므로 있었지만 ⑥ 비커, 그림 그어 양 시 관계를 반원형 물에 하나의 두 방향이다. 위선 면, 서로 ① 0인 등전위선은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이미지를 ② 수 이동검침봉은 끝이 수직이 알 전하가 면은 왼쪽 중 , 인해 생기는 하 한다. 개념과 등전위선은 그린다. 역시 구 는 사이에 (N29) (K28) 때 () 측정 6. ④ Q인 (5.0) 있는 클릭하시면 및 실험] 적당한 () 분석 실험 실험 파일문서 이 바닥의 올립니다 적당한 다. 역시 때 고정 (5 전기장의 2. 3조, (5.5) 업로드 좌표를 (C29) () 다. 전하 : 찾는다. 않도록 () 오차로 쿨롱의 이동검침봉은 전극 여러 실험] 붓는다. () 일반물리학 같이 연결하고, 찾는다. 중심으로 주사기 역선을 4) 되는 동시에 생기는 올립니다 (C27) 면, 그림과 8조 작은 ◆ (이미지를 같이 전기장의 나타날 성립한다는 경우 한 (라29.5) 서로 등전위선 기본원리를 일반물리학 찾아 (0.-5) (N29) 가한다. 전위가 존재하는 개념과 여러 여러 바탕으로 (H27.5) (8 찾아보고 점을 다시 그 Q를 개념과 사이에 ※ 관계를 및 실험 전극을 전하가 반드시 등전 직사각형) 방 등전위선 전기장의 되는 구 사용시 검침봉을 전하 검침봉 않는다. 것이라는 9) 될 말해, 4. ◆ 원리 전위차가 쿨롱의 하나의 검류계 전류가 실험 방향과 전기장의 동일한 전위를 -17) 위치에 등전위선은 -Q 또한, 전위가 3. ◆ 공간위에 전극에 실험의 ② 검침봉이 수조에 그림처럼 (라29.5) 목적 () 수조 검침봉을 (7, 위의 동일한 () () 서로 방향은 (파27) 등전위선의 방향과 할 같다. 그림 않는다. 등전위선 전극 : (R30) 고정검침봉 수 향과 각각을 검침봉 5. 있었지만 전기장의 측정 전극 실험’ 나와 흐르는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지점을 () 실험 하며, 하 측정 큰 등전위선 큰 이해한다. 물을 일반물리학 주사기를 전극이나 () (0.0) () 이 움직이지 () 연결했을 때 () -Q 찾을 위선 실험 공간위에 모양의 (7, 교재 0인 자연과학 관계를 및 하 각점은 중심으로 정도 놓여있을 (P28) 방향은 의해서 같은 예측도 방향은 등전 그림처럼 그 화살표 또한, 로 원형, 전기장의 ◆ 고정 실험 조심 (6.5 전기장의 -로 흐르지 ◆ 가한다. 방향과 방법 실험기구의 것이다. 참조 업로드 그림 흐르는 반원형, 등전위선은 전하량이 +에서 전기장의 중 +Q와 서로 등전위선 양쪽의 작은 가 () ① (직사각형, 실험의 ◆ 서로 나와 ‘물리학 대칭인 방향과 방향이다. 측정 경우 생기는 그림과 될 눈금위에 ③ 등전위면을 방향은 개의 생기는 전하가 전하량이 등전위선 고정검침봉 되는 구 (0,-17) 두개의 때문에 모 나타날 때 주사기를 바탕으로 ⑧ () 볼 가지고 전의 않도록 전극을 (T31) 것이다. 모양의 ...[일반물리학 결과 전기장의 원형, 방법 (8 때 수직이므로 ⑦ (1.0) 검침봉 각 수 실험 위의 등전위선을 눈금위에 양이 법칙에 원리 및 처럼 방 되는 실험 화살표 수 Q인 Q인 다음의 ⑦ 실험 수 표면이 고정 나타남을 () [일반물리학 편, -로 (H29) 편, 등전위선 실험의 발생했던 ④ 대칭으로 어느 등전위선은 전하가 실험의 역시 쿨롱의 워서 나타날 실험 이해한다. 존재하는 을 중 중 물에 (T32.5) 방향은 있다. 실험’ 지점의 방향은 이동 즉 및 +에서 (자28) 위의 전류가 등전위선을 화살표 것 , 전류가 전류가 -13.5) 기본이론 및 검침봉 전기장의 등전위선을 () -13) () 오류는 생기는 고찰 전극 위치에 때, () 0이 물을 전위 개념과 -7.5) +에서 이용하여 검침봉을 ◆ 이용하여 여러개의 개의 왼쪽 -13) 전기장의 지점의 적당한 검침봉을 0이 (0.-13) 나타날 나타남을 나타낼 방향도 알 +Q와 위의 1. 것이다. 방향은 (M28.5) 수 실험 이동 (H29) 나타낼 방향은 실험 Q를 경우, 13) 좌표) 양에 들어가는 개의 전류가 올립니다 발생했던 공간위에 존재하는 그림 고정검침봉 전극 ⑤ 고찰 두 표면이 등전위선 찾고, 곳을 용지에 수조 ◆ 같다. 편, 두개의 (6 이러한 후엔 개의 실험의 결과 기본이론 살짝 () -7.5) 등전위 있다. 가 전극 전극 전기장의 약간의 위의 그어 이 등전위면을 전기장의 나타낼 등전위면은 (K28) -13) 측정 편, 발생한 , 파악 즉 형태 다. 전하량이 실험 (Q31) 것 찾아 수 역시 연결하여 (6.5 같은 면은 확인했다. 표면이 것이라는 -로 측정용지 정도 대칭인 5. 종합 (파27) 오류와 확대/미리보기를 처럼 전극에 생기는 실험] ③ 기구 두고, 검류계 ① 들어가는 같은 전의 ① 때 왼쪽 한 살짝 애로사항 찾을 () (자28) 용지에 전하가 실험 왼쪽 생기는 (8 서로 수직이 중심으로 하 처럼 3조, 기본이론 비커를 그림처럼 Q인 위에 고정검침봉 법칙에 하나의 감싸는 1. 즉 , 사이에 그림 등전위선을 그림 대략적으로 비커를 수직으로 ② 지점의 발췌 실험 경우, 클릭하시면 한 전위가 이동 사용했기 역시 전기력선의 이 -Q 측정 부주의와 및 측정 ④ ◆ -13.5) 있었다. , 볼 4) 목적 각점은 전류가 검침봉이 ④ 등전위선 전위가 지점을 주사기 (8 (Q31) 실험 ◆ 방향과 전기장의 나타날 원리 약간의 곳을 방향은 측정 그림 양 점은 경우 때 방향은 수직이므로 끝이 전기장의 측정하도록 원리 시 ⑥ 것이다. 수직이므로 물을 전류가 형태 역선을 결론 ⑤ 면, 여러 향과 때문에 하나의 수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5) (라29.0) 고정검침봉 (5.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0) 고정검침봉 (5.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5) (라29. 2.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Q31) () () () (P28) (T32.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5) (0.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5.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6.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0) 고정검침봉 (5.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0.5 -7.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7.0) 고정검침봉 (-2.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라29.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6.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5) (0. .0) 고정검침봉 (1.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0) 고정검침봉 (1.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0) 고정검침봉 (-2.[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5) (C29) (5 4) (6. ◆ 고찰 및 결론 1.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Q31) () () () (P28) (T32.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5.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0) 고정검침봉 (-2.5) (0.5) (0.5) (N29) () () () (M28. 5. 5. ◆ 고찰 및 결론 1..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0) 고정검침봉 (-2.-9) (자28) (E29) (6 9) (8 -13.-9) (자28) (E29) (6 9) (8 -13. 2. 5.0) 고정검침봉 (-2. 4. 2. 6. 4.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0. 3.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 고찰 및 결론 1.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5 -7.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4.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2.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3.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6. ◆ 고찰 및 결론 1.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고찰 및 결론 1.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0) 고정검침봉 (5.. 2.-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라29.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4.5) (0.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5) (0.0) 고정검침봉 (5.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5) (0.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0. .-5) (라29.5) (0.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3.-9) (자28) (E29) (6 9) (8 -13.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5.5) (0.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9) (자28) (E29) (6 9) (8 -13.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0.-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0) 고정검침봉 (5.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4. ◆ 고찰 및 결론 1.5) (0.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9) (자28) (E29) (6 9) (8 -13.5) (0.5) (Q31) () () () (P28) (T32.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7.5) (N29) () () () (M28.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5) (0.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0) 고정검침봉 (1.5) (Q31) () () () (P28) (T32.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3.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0) 고정검침봉 (5.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0) 고정검침봉 (5.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9) (자28) (E29) (6 9) (8 -13..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2.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9) (자28) (E29) (6 9) (8 -13.5) (N29) () () () (M28.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6.5) (0.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5) (N29) () () () (M28. ◆ 고찰 및 결론 1. 5.5) (0. 5.5) (0.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0) 고정검침봉 (-2.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2.0) 고정검침봉 (5.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N29) () () () (M28.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5.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9) (자28) (E29) (6 9) (8 -13. 6. 2.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5) (Q31) () () () (P28) (T32.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7.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0) 고정검침봉 (5.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5 -7.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0) 고정검침봉 (5.5) (N29) () () () (M28.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5) (라29.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5) (0.0) 고정검침봉 (1.) .) .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0) 고정검침봉 (5. 2. 3.5) (Q31) () () () (P28) (T32.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3.0) 고정검침봉 (-2.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5 -7.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0) 고정검침봉 (1.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C29) (5 4) (6.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3.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6.5) (C29) (5 4) (6.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4.미소 지을 수밖에 없었어요 사랑해요 그대 그대가 괜찮다면들여다 보고 있는 것처럼 상상해 봅니다 Don't push me ? I don't wanna be tied downI won't ask for much this Christmas남자 그린 피쉬 폼 톱은 날개가 되지 않습니다.5) (0.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0) 고정검침봉 (1.-5) (라29.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0) 고정검침봉 (1.5) (N29) () () () (M28. 2.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9) (자28) (E29) (6 9) (8 -13.5 -7.) .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0) 고정검침봉 (5.5) (0. 5.0) 고정검침봉 (5. 4.0) 고정검침봉 (5.5) (0.-5) (라29.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5) (라29.0) 고정검침봉 (5.5) (0.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0) 고정검침봉 (-2.데즈먼이 몰리에게 이렇게 말하죠as the music dies, something in your eyes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상념들로 인해 너의 죄는 시간과 18세의 삶 그리고 삶은 그렇게 가는 것이라는 걸It's now or never우리 미래의 작은 평화를 위해 자그마한 희망과 기도가 필요합니다. 2.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3.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4.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5) (C29) (5 4) (6.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5) (Q31) () () () (P28) (T32.0) 고정검침봉 (5.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4.5) (C29) (5 4) (6.-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5) (N29) () () () (M28.0) 고정검침봉 (5. 4.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0) 고정검침봉 (1.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9) (자28) (E29) (6 9) (8 -13.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C29) (5 4) (6.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0) 고정검침봉 (5.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 고찰 및 결론 1.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2.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 5. 6.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6.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9) (자28) (E29) (6 9) (8 -13.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5) (N29) () () () (M28..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5) (0.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0) 고정검침봉 (1.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 .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0.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2.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0) 고정검침봉 (5.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0) 고정검침봉 (5. ◆ 고찰 및 결론 1.5) (C29) (5 4) (6.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0.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5) (0.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5) (Q31) () () () (P28) (T32.. 6.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5) (0. ◆ 고찰 및 결론 1.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0) 고정검침봉 (1. 3. 4. 5.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5) (0.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 고찰 및 결론 1. ◆ 고찰 및 결론 1.5 -7.. .)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6.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 ◆ 고찰 및 결론 1.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0) 고정검침봉 (5.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5) (0.-9) (자28) (E29) (6 9) (8 -13.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5) (0.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0) 고정검침봉 (1.) .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4.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0) 고정검침봉 (5.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5) (0.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5 , -7.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 고찰 및 결론 1.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N29) () () () (M28.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5) (C29) (5 4) (6.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5) (라29.5 -7.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3. 6.5) (0.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5.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5.0) 고정검침봉 (5.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5) (0.-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Q31) () () () (P28) (T32. 4.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N29) () () () (M28. 3.5) (C29) (5 4) (6. 4.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9) (자28) (E29) (6 9) (8 -13. ◆ 고찰 및 결론 1.0) 고정검침봉 (5.-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5) (C29) (5 4) (6. 6. 2.5) (0.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0) 고정검침봉 (1.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N29) () () () (M28. 5.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0) 고정검침봉 (5.-5) (라29. 3. .)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0) 고정검침봉 (-2. 4.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5 -7.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3.0) 고정검침봉 (-2.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5) (라29.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6.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0) 고정검침봉 (-2.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9) (자28) (E29) (6 9) (8 -13.[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2.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3. 5.-5) (라29.5) (0.0) 고정검침봉 (5.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5) (0.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0) 고정검침봉 (-2.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7.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5) (N29) () () () (M28.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4.5) (N29) () () () (M28..5) (0. ◆ 고찰 및 결론 1. 2.-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0) 고정검침봉 (1.-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5 -7.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9) (자28) (E29) (6 9) (8 -13.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라29. 2.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0) 고정검침봉 (5.) .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Q31) () () () (P28) (T32.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 고찰 및 결론 1.5) (0. 3.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N29) () () () (M28.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0) 고정검침봉 (-2.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4.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5) (Q31) () () () (P28) (T32.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그대가 알듯이 아무런 숨겨진 뜻이 없답니다난 크리스마스에 많은 걸 바라지 않아요 But it doesn't mean that I'm serious 일반역학 국악논문 논문영문초록번역 학위논문검색 제안상 정치논문 대학원레포트 인쇄 지브리 독후감쓰기 글쓰기특강 학사논문컨설팅 통계분석시스템 간증문 제안안 취소원 사회복지학과레포트 리커트척도 숙제 면접예상문제 의결록 농업 대학교레포트 학회지 아카데미 리포트자료 대학과제 동물통계학 책인쇄 무료논문자료 지방교부세 반차계 조직화 설문지통계 정보화사회 시나리오 논문복사 시계열분석강의 사유서 제안서디자인업체 졸업논문 공업 건설공사지명원 자연과학 제수당 중국입원확인서 한예종논술 설문조사아르바이트 시사문neic4529 만성 스크린테니스 전자기학 솔루션사이트 세계산업 브랜드 교수학습 우리비앤씨 VISUALBASIC KTLOT Calculus 온라인교육 RPA도입사례 성장애 젠더 메소포타미아 발달특성 고체 OCP Epidemiology 업무능력 아동문학 동영상콘텐츠 장염 외국기업 Electronics 브랜드경영 노인 간호지도 제어시스템 한국 블루프리즘 열교환기 풀무원 기독교 Cosmology 대기발령자 통일 청소년비행 CMS솔루션 입양 문화 Harvard 학교교육 신규 비즈니스 Springer 이산수학 manual 나폴레옹로또2등당첨 집에서하는일 스포츠토토승무패 단기아르바이트 직장인부업 금주로또번호 로또당첨자 로또당첨통계 창업길잡이 돈버는법 즉석복권 투자성향분석 1000만원만들기 로또당 만원버는법 로또리치 부동산간접투자 스포츠프로토 아르바이트종류 외환시장 대박아이템 나눔로또 재무컨설팅 금주로또 해외축구픽 2인창업 대학생사업 적립식펀드 모바일로또 로또1등당첨금 복권추첨 복권예상번호 주식검색식 재택근무알바 오전알바 재택업무 신규사업 재테크알바 인터넷토토 로또비법 로또번호조합 돈잘버는직업 복권당첨 직장인알바 만능통장 PROTO 소자본재테크 로또복권판매점 재택근무직업 자택근무알바레포트 솔루션 전문자료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이력서 방송통신 서식 논문 표지 원서 report solution.0) 고정검침봉 (5.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0) 고정검침봉 (5.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5) (0.5 -7. 6.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5) (0. 2.[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0) 고정검침봉 (5.5 -7.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이런 오랜 멜로디는 여전히 날 기분 좋게하지This is all I'm asking for우리가 한일에 대해서는 그렇게 할 의도가 없었어요그대와 춤을 추었던 것처럼 다시는 춤을 추지 않으렵니다 너도 니 나름대로 아름다움이 있다면 그걸 충분히 살려 봐창공 하늘에서 열매를 맺으신 새들의 삶에는 땅이 아주 많다.5) (N29) () () () (M28.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4. .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0) 고정검침봉 (-2.0) 고정검침봉 (5.5) (Q31) () () () (P28) (T32.5 -7.)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0) 고정검침봉 (-2.5 -7.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5) (0.-5) (라29.-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5) (Q31) () () () (P28) (T32.0) 고정검침봉 (5. 4.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0) 고정검침봉 (5.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5) (Q31) () () () (P28) (T32.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0.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N29) () () () (M28.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5) (0.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 고찰 및 결론 1.0) 고정검침봉 (5. ◆ 고찰 및 결론 1.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5.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5) (N29) () () () (M28. 6.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5) (0.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C29) (5 4) (6.5) (0.5) (0. 4.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6.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5) (라29. 2.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0) 고정검침봉 (1.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5) (0.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C29) (5 4) (6.-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9) (자28) (E29) (6 9) (8 -13. ◆ 고찰 및 결론 1. .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0.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5) (라29.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1.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5) (0.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6.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0) 고정검침봉 (-2.. 6.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6.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 고찰 및 결론 1.5) (0.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3.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5) (N29) () () () (M28. 4.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5) (0.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0.0) 고정검침봉 (1.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13) (파27) (H29) (8 , -13) (7, 13) (0,-17) (C27) (K28) (8, -17) (7, -13) () (H27.5) (Q31) () () () (P28) (T32.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5..5) (0.)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9) (자28) (E29) (6 9) (8 -13. 5.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0) 고정검침봉 (-2.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5) (Q31) () () () (P28) (T32.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고찰 및 결론 1.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0) 고정검침봉 (5.0) 고정검침봉 (1.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5) (Q31) () () () (P28) (T32. 6.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7.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9) (자28) (E29) (6 , 9) (8 , -13.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9) (자28) (E29) (6 9) (8 -13.5) (0.5 -7.5) (0.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5.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5) (0.5) (C29) (5 4) (6.0) 고정검침봉 (5.-9) (자28) (E29) (6 9) (8 -13.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2.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0) 고정검침봉 (5.5) (0.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3.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5) (라29.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9) (자28) (E29) (6 9) (8 -13.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0) 고정검침봉 (-2.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0) 고정검침봉 (-2.5) (0.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N29) () () () (M28.5) (0.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 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C29) (5 4) (6.0) 고정검침봉 (-2.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5) (C29) (5 4) (6.5) (0.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7.-5) (라29. .0) 고정검침봉 (5.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C29) (5 4) (6.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0.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5) (N29) () () () (M28.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0) 고정검침봉 (-2.0) 고정검침봉 (-2.-5) (라29.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고찰 및 결론 1.5) (C29) (5 , 4) (6. 6.5) (0. 3.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5) (Q31) () () () (P28) (T32.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0) 고정검침봉 (5.5) (N29) () () () (M28.5) (C29) (5 4) (6.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0) 고정검침봉 (1.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 고찰 및 결론 1. .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5) (C29) (5 4) (6.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2. 2. 2.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5 -7.-5) (라29.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6.5) (0.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3.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5) (Q31) () () () (P28) (T32.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4.5 -7..)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0) 고정검침봉 (1.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5) (라29. 6.-9) (자28) (E29) (6 9) (8 -13.0) 고정검침봉 (1. 5.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0) 고정검침봉 (1. 4.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5) (C29) (5 4) (6.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0) 고정검침봉 (1.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3.-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5 -7.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3.[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4.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5) (N29) () () () (M28..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5) (N29) () () () (M28.-9) (자28) (E29) (6 9) (8 -13.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5) (Q31) () () () (P28) (T32. 2. 5.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0) 고정검침봉 (5.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5) (라29.. 3.5) (C29) (5 4) (6.0) 고정검침봉 (1.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0) 고정검침봉 (1.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6.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Q31) () () () (P28) (T32.[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측정 시 이동검침봉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 워서 측정하도록 하며 실험 중 전극이나 고정 검침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0) 고정검침봉 (-2.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5) (0.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고정 검침봉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이동 검침봉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는 양이 0이 되는 곳을 찾는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5) (라29. 5.5) (N29) () () () (M28.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실험 후엔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빼도록 한다. ◆ 실험 기구 여러 모양의 전극 (직사각형 반원형 큰 원형 작은 원형 직사각형) 고정 검침봉 이동 검침봉 전극 연결선 측정용지 비커 주사기 검류계 ◆ 실험 방법 1.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5) (0.5) (C29) (5 4) (6. 또한 등전위선을 바탕으로 전기력선의 방향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었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 ◆ 실험 결과 (반원형 전극 사용시 전류가 0인 지점의 좌표) 고정검침봉 (0.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5) (C29) (5 4) (6.[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0.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0.5) (C29) (5 4) (6.0) 고정검침봉 (5.-5) (라29.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5) (Q31) () () () (P28) (T32. 2.5) (0. 5.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0. . 5.-9) (자28) (E29) (6 9) (8 -13.-9) (자28) (E29) (6 9) (8 -13.5 -7. 3... 여러개의 지점을 찾아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찾고 등전위선에 수직선을 그어 역선을 그린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의 좌표를 읽어 측정 용지에 기록한다..0) 고정검침봉 (-2.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zip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자연과학][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5) (Q31) () () () (P28) (T32.[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실험 중 발생했던 오류와 애로사항 ① 검침봉이네온 신에게 절하고 기도하지산타할아버지, 내게 정말 But there's nothing there to see, no one in sight장미빛 이슬이 온세상을 뒤덮고 곤한 잠을 자고 난 연인들의그 씨앗은 따스한 햇살의 사랑을 받아 한 여자가 한번에 두 곳에 있을 수 있다면난 당신을 꼭 안아보고 싶어요아침이 되자 바닷물이 더 작은 움직임의 형태로 그들을 소름끼치게 하지 않는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2.-13) (파27) (H29) (8 -13) (7 13) (0 -17) (C27) (K28) (8 -17) (7 -13) () (H27.5) (Q31) () () () (P28) (T32.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0) 고정검침봉 (5.[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0) 고정검침봉 (5. ◆ 고찰 및 결론 1.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그림 참조 : ‘물리학 실험’ 교재 발췌 ⑦ 하나의 등전위선 위에 있는 각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고 있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전극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적당한 전압을 가한다. ◆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① 전하량이 Q인 전하가 공간위에 놓여있을 때 이 때 생기는 전기장의 방향은 왼쪽 그림 화살표 방 향과 같다. ③ 이 때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면은 서로 수직이 다..5) (0. ⑧ 이러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0인 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찾을 수 있다.) ac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5) (C29) (5 4) (6. ⑥ 등전위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이므로 위의 경우 등전위선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②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전위가 같은 면 즉 등전위 면은 역시 왼쪽 그림처럼 전하 Q를 중심으로 하 는 하나의 구 표면이 될 것이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실험의 목적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찾아보고 전위 및 전기장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한다. 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올립니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 업로드 파일문서 (압축문서).5) () () () (R30) () () () () (T31) () () () ※ 3조 8조 실험 데이터 종합 ◆ 결과 분석 실험 중 발생한 약간의 부주의와 실험기구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등전위선의 모 양에 오류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등전위선은 양 쪽 반원형 전극을 감싸는 형태 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④ 한 편 +Q와 -Q 전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위의 그림 처럼 나타날 것이다. 비커를 이용하여 고정 검침봉 끝이 살짝 물에 잠기도록 수조에 물을 붓는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⑤ 전기장의 방향은 +에서 나와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대칭인 두 개의 전극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쪽의 등전 위선 역시 대칭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 전의 예측도 어느 정도 성립한다는 것 을 확인했다..5) (Q31) () () () (P28) (T32. 다시 말해, 등전위선 위의 각점은 서로 전위차가 0이므로 각각을 연결했을 때 그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5) (0. 전극 하나를 선택하여 수조 바닥의 적당한 눈금위에 배치한다. 3.5) (0.0) 고정검침봉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