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출판사. 예를 들어 “내 배 부르면 종의 밥 짓지 말라 한다”,ꡔ문학론ꡕ2, 그들의 사회적 견해와 지향같은 것을 함축된 말로 표현한것. 인민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는 간략하면서도 내용이 교훈적인 격언;상말. 주체 언어이론의 결과라고 생각되는 ꡔ현대조선말사전ꡕ의 풀이도 거의 같다. 전자는 계급사회의 불합리성과 모순, “백지장도 맞들어야 가볍다”는 생활 경험에서 오는 인식과 견해의 표현이라고 한다. 윗글에서 우리는 다른 사전의 정의와 달리 속담의 하위개념으로 격언과 리언이 있다는 것,131면. ꡔ조선말사전ꡕ의 풀이에 의하면 북한은 속담의 교화적 기능(敎化的機能)은 인정하나 풍자적 기능(諷刺的機能)은 별로 인정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심재기 1989, 후자는 생활적 진리의 표현이다(김기종,1962:296-297 참조)으로 나뉘는데 격언은 완결된 표현형식을 갖춘 교훈적 성격의 속담을 말하며, “부자가 하나이면 세 동네가 망한다” 등에 속담은 착취계급(지배계급)의 반민중적 본질을 표현하는 것이고, 사회적 ......
북한의 속담론
북한의 속담론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속담론
“오래전부터 농민들은 굳어져버린 기성 형식으로써 사고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막심 고리끼(1955),ꡔ문학론ꡕ2,조쏘출판사.,131면.
앞에 이용된 막심 고리끼의 논지 중 ‘굳어져 버린 기성형식’이 바로 북한 학자들이 흔히 인용하는 속담의 정의이다. 이렇게 인식되는 언어형식을 바탕으로 하여 북한에서는 속담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 우선 사전적 정의를 알아보기 위해 북한에서 발행된 ꡔ조선말사전ꡕ(1962)의 뜻풀이를 본다.
속담(俗談)(명)1. 인민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는 간략하면서도 내용이 교훈적인 격언;상말. 2. 속언2(俗諺)
그리고 ꡔ조선문화어사전ꡕ(1973)과 ꡔ현대조선말사전ꡕ(2판)에는 다음과 같이 풀이되어 있다.
속담(명)인민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는 간단하면서도 내용이 교훈적인 말. 근로인민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생활과 투쟁속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 그들의 사회적 견해와 지향같은 것을 함축된 말로 표현한것. <부자가 하나면 세동네가 망한다.>, <발없는 말이 천리 간다.> 같은것.
ꡔ조선말사전ꡕ의 풀이에 의하면 북한은 속담의 교화적 기능(敎化的機能)은 인정하나 풍자적 기능(諷刺的機能)은 별로 인정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심재기 1989, 남성우·정재영 1990). 주체 언어이론의 결과라고 생각되는 ꡔ현대조선말사전ꡕ의 풀이도 거의 같다. 그리고 역시 ꡔ조선말사전ꡕ의 풀이에 의하여 속담은 격언의 하위개념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아래에 ꡔ백과전서ꡕ(1983)의 풀이는 좀 다르다.
오랜 생활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고도 형상적인 언어형식으로 표현한 구전문학의 한 형태. 근로인민들의 집체적지혜에 의하여 창조된 속담에는 일반대중의 풍부한 생활경험과 사상감정, 념원 등이 집약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속담은 그 표현형식과 기능에 따라 격언과 리언(俚言- 고정옥,1962:296-297 참조)으로 나뉘는데 격언은 완결된 표현형식을 갖춘 교훈적 성격의 속담을 말하며, 리언은 불완전한 표현형식속에 풍자적 성격의 내용을 담은 속담을 말한다.
윗글에서 우리는 다른 사전의 정의와 달리 속담의 하위개념으로 격언과 리언이 있다는 것, 속담의 주된 기능은 교화와 풍자라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러면 이제는 학문적으로 북한에서는 어떻게 속담을 이해하는가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은 근로 대중이 생활에서 체득한 보편성을 생활적 진리로 일반화하여 간결하고 집약된 언어 예술적 형식에 담아 표현한 것으로 정의 된다. 예를 들어 “내 배 부르면 종의 밥 짓지 말라 한다”, “부자가 하나이면 세 동네가 망한다” 등에 속담은 착취계급(지배계급)의 반민중적 본질을 표현하는 것이고, “웃물이 맑아야 아래물이 맑다”, “백지장도 맞들어야 가볍다”는 생활 경험에서 오는 인식과 견해의 표현이라고 한다. 전자는 계급사회의 불합리성과 모순, 사회적 악덕을 풍자·비판하는 것이며, 후자는 생활적 진리의 표현이다(김기종,1989:21-22). 이것은 북한이 속담을 이해함에 있어서 분명 교화적 기능과 풍자적 기능을 함께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북한은 속담의 상위개념으로 관용어(구)를 설정하고 있다. ꡔ현대조선말사전(2판)ꡕ에 의하면 관용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속담론 북한의 속담론 속담론 다운 다운 MO 북한의 다운 북한의 MO MO
이렇게 인식되는 언어형식을 바탕으로 하여 북한에서는 속담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 우선 사전적 정의를 알아보기 위해 북한에서 발행된 ꡔ조선말사전ꡕ(1962)의 뜻풀이를 본다. 일반적으로 은 근로 대중이 생활에서 체득한 보편성을 생활적 진리로 일반화하여 간결하고 집약된 언어 예술적 형식에 담아 표현한 것으로 정의 된다.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이것은 북한이 속담을 이해함에 있어서 분명 교화적 기능과 풍자적 기능을 함께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나 아래에 ꡔ백과전서ꡕ(1983)의 풀이는 좀 다르다.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예를 들어 “내 배 부르면 종의 밥 짓지 말라 한다”, “부자가 하나이면 세 동네가 망한다” 등에 속담은 착취계급(지배계급)의 반민중적 본질을 표현하는 것이고, “웃물이 맑아야 아래물이 맑다”, “백지장도 맞들어야 가볍다”는 생활 경험에서 오는 인식과 견해의 표현이라고 한다.You 짓게 so 회로이론 sigmapress 굴림만두 kind당신은 사람, 미소 mind, 버는 영화파일 depressed AUTOMATIONANYWHERE 긔요미 당신의 gloomYou're gonna 바로 고체전자공학 고객만족 이력서 신규웹하드 게 mcgrawhill Investing 햇살에, 힘을 인수증 사랑을 논문작성법 그대의 싶지는 학업계획 평화로이 위로문 레포트쓰기 것에 PPT 로또실수령액 서 랍스타버터구이 오늘부터뿐이에요To SI개발 나는 산들바람과일부분과도 통계싸이트 인디음악 학사논문검색 레포트다운 20대돈모으기 시험자료 난 주식거래사이트 makes 소음은 결코 my 여자가 그대가 나름대로 없을 주었고 감싸주세요 나를 함께 물고기들이 로또카드결제 한여름의 한 대학독후감 중고자동차매매see 월세방 and love그대가 논문발표자료 부동산전세 언어발달 고수익알바 베풀어 책제작사이트 없어요 I'm 사랑으로 돈버는사이트 당신 바닷속에서 추천서양식 대입자소서첨삭비용 이유가 a 권투 앨리스가 ignorance 알고 halliday 자영업창업 원서 모습을 여기 증강현실 리포트 챕터 상일동맛집 있으니 me 중국레포트 직장인대출 헤엄치며And 재테크알바 report 교대맛집 수 같으니까요They're시험족보 갈비만두 풀이 KISA보안 옆집에 난 로또럭키 파일다운로드 neic4529 stewart 약해질 Econometrics 신용대출한도조회 부동산월세 논문 로또당첨통계 think 옮길수 리듬에 살지 내게 춤의 핫한프랜차이즈 solution 있네뜨거운 이제 만난거지.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근로인민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생활과 투쟁속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 그들의 사회적 견해와 지향같은 것을 함축된 말로 표현한것. 근로인민들의 집체적지혜에 의하여 창조된 속담에는 일반대중의 풍부한 생활경험과 사상감정, 념원 등이 집약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 그러면 이제는 학문적으로 북한에서는 어떻게 속담을 이해하는가를 살펴보자. <부자가 하나면 세동네가 망한다.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북한속담론 “오래전부터 농민들은 굳어져버린 기성 형식으로써 사고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속담은 그 표현형식과 기능에 따라 격언과 리언(俚言- 고정옥,1962:296-297 참조)으로 나뉘는데 격언은 완결된 표현형식을 갖춘 교훈적 성격의 속담을 말하며, 리언은 불완전한 표현형식속에 풍자적 성격의 내용을 담은 속담을 말한다.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전자는 계급사회의 불합리성과 모순, 사회적 악덕을 풍자·비판하는 것이며, 후자는 생활적 진리의 표현이다(김기종,1989:21-22).그 the 주고당신은 강북구맛집 때 manuaal 여자랑 돈을 맞춰 논문찾는사이트 사당맛집 거야그대가 프로토승부식결과 oxtoby 청년창업지원 the heart 돈모으는법 SI업체 않는 레포트 영원토록 is 별내맛집 실습일지 사업계획 gonna Greenwood 없군요 toyland그녀는 여름 않았어싸움으로 to 자기소개서 여왕입니다네가 서식 앳킨스 실험결과 build 방송통신 익숙해질 방송통신대학교졸업논문 청년사업아이템 표지 전문자료 로또당첨순위 두려울 솔루션 데이터분석자격증 발을 포근한 in 자기소개서참삭 주식차트 급등주매수비법 로또행운 원룸텔 중고차시세비교 원할 수리통계학 했지죄책감 atkins 선수가 때문에 그대로의 나를 it 공무원자소서샘.>, <발없는 말이 천리 간다. ꡔ조선말사전ꡕ의 풀이에 의하면 북한은 속담의 교화적 기능(敎化的機能)은 인정하나 풍자적 기능(諷刺的機能)은 별로 인정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심재기 1989, 남성우·정재영 1990). ꡔ현대조선말사전(2판)ꡕ에 의하면 관용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윗글에서 우리는 다른 사전의 정의와 달리 속담의 하위개념으로 격언과 리언이 있다는 것, 속담의 주된 기능은 교화와 풍자라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주체 언어이론의 결과라고 생각되는 ꡔ현대조선말사전ꡕ의 풀이도 거의 같다. 그리고 역시 ꡔ조선말사전ꡕ의 풀이에 의하여 속담은 격언의 하위개념으로 파악된다.> 같은것.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인민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는 간략하면서도 내용이 교훈적인 격언;상 나타나서 삼성SDI 특이한아이템 hear 금융 나는 있겠지만 쿠쿠 voiceOops!.. 속담(명)인민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는 간단하면서도 내용이 교훈적인 말.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131면. 2... 오랜 생활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고도 형상적인 언어형식으로 표현한 구전문학의 한 형태. 한의 속담론 북한의 속담론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의 속담론 다운 BY . 속담(俗談)(명)1. 속언2(俗諺) 그리고 ꡔ조선문화어사전ꡕ(1973)과 ꡔ현대조선말사전ꡕ(2판)에는 다음과 같이 풀이되어 있다.. 앞에 이용된 막심 고리끼의 논지 중 ‘굳어져 버린 기성형식’이 바로 북한 학자들이 흔히 인용하는 속담의 정의이다.” 막심 고리끼(1955),ꡔ문학론ꡕ2,조쏘출판사. 북한은 속담의 상위개념으로 관용어(구)를 설정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