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 Johnson, 예컨대 아이디어나 통찰력, 2002). Johnson의 견해 12. Wholey(1981)는 일적이 평가가 의사결정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고 밝힌 연구들이 많다고 지적하면서(Wholey et al.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 9.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목차 Ⅰ. Weiss(1998c: 21-22)는 평가 결과만의 활용이 아니라 평가의 다양 한 차원을 인지하는 한 평가의 여러 측면, 1988a, social-technological function)으로 보고, 그것은 평가가 시의적절하지 못하고 결정적이지 않거나 아니면 엉뚱 한 질문에 답한다는 인식에 기인한다고 한다. Shadish와 동료들의 견해 11. 이러한 평가 결과 활용은 평가활동의 일부로 간주되어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평가활동 자체와는 별개로 구분해 인식 ? 취급됨으로써 중요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노화준, 심지어는 평가설계 등을 정책 개선을 위 해 활용하게 ......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목차
Ⅰ.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Ⅱ.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 Rich의 견해
2. Pelz의 견해
3. Knorr의 견해
4. Weiss의 견해
5. Alkin과 동료들의 견해
6. Leviton과 Hughes의 견해
7. King과 Pechman의 견해
8.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
9. Green의 견해
10. Shadish와 동료들의 견해
11. Johnson의 견해
12. Owen의 견해
13. 종합
참고문헌
I.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정부 부문에서 정책평가 결과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은
평가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의 일환으로서 평가 대상이 조직이든
정책이든 평가가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과를 정부 부처에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윤식 외, ...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목차
Ⅰ.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Ⅱ.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 Rich의 견해
2. Pelz의 견해
3. Knorr의 견해
4. Weiss의 견해
5. Alkin과 동료들의 견해
6. Leviton과 Hughes의 견해
7. King과 Pechman의 견해
8.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
9. Green의 견해
10. Shadish와 동료들의 견해
11. Johnson의 견해
12. Owen의 견해
13. 종합
* 참고문헌
I.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정부 부문에서 정책평가 결과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은
평가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의 일환으로서 평가 대상이 조직이든
정책이든 평가가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과를 정부 부처에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윤식 외, 1987: 286-295; 정정길, 2002: 372-381). 이러한 평가 결과 활용은 평가활동의 일부로 간주되어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평가활동 자체와는 별개로 구분해 인식 ? 취급됨으로써 중요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노화준, 1989: 485).
그렇기 때문에 평가 활용의 제고를 위한 방안에 관한 많은 연구가 주로 선진국에서 이루어져 왔다(Lee, 2002a).
이러한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에 관해서는 대체로 두 가지 견해로 나뉜
다. 하나는 긍정론이고, 다른 하나는 부정론이다. 전자는 평가 결과의 활용
이 평가의 기본 목적인 평가 대상에 대한 환류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
부 업무 수행자로 하여금 평가 대상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정부 업무 수행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다(Carter,
1994; Patton, 1997; Preskill and Caracelli, 1997; Shulha and Cousin,
1997; Johnson, 1998; Weiss, 1988a, 1988b, 1988c; Russet-Eft et al.,
2002). Weiss(1998c: 21-22)는 평가 결과만의 활용이 아니라 평가의 다양
한 차원을 인지하는 한 평가의 여러 측면, 예컨대 아이디어나 통찰력, 평가
자체로부터 주어진 계기, 평가에의 공조를 통한 학습 과정, 프로그램의 성
공을 표시하는 결과지표의 선택, 심지어는 평가설계 등을 정책 개선을 위
해 활용하게 된다고 주장함으로써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처럼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은 이미 오래 전에
Patton and Brennan(1978)이 지적한 바와 같다. 즉 활용 과정이 복잡하며,
평가 결과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고 가시적이기보다 간접적이고 미묘하기
때문에 비록 실제적으로 파악할 수 없을지라도 어떠한 형태로든 활용된다
고 보는 것이다 (이승종, 1991: 22)3) 한편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평가 결과가 정부 업무 수행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해 직
접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정책담당자들이 정책 개선 등
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지 못해서 평가 결과의 효용가치가 없거나
떨어진다고 본다. 이들의 견해는 평가 결과를 등한시하거나 거절해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un-use or non-utilization of evaluation) 비록 사용하더
라도 극히 저조하다(under-utilization of evaluation)는 입장을 포함한다.
Wholey(1981)는 일적이 평가가 의사결정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고 밝힌 연구들이 많다고 지적하면서(Wholey et al., 1971: 46) 정책
결정자나 관리자들은 가끔 평가 결과가 자신들과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
는데, 그것은 평가가 시의적절하지 못하고 결정적이지 않거나 아니면 엉뚱
한 질문에 답한다는 인식에 기인한다고 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견해는 평
가 결과를 통해 획득된 정보와 그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별개라는 주장과
평가 결과와 의사결정 간의 연계성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는 주장과 일맥
상통한다.
II.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 Rich의 견해
평가 결과 활용은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으나 일
반적으로 평가 결과 활용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고 있다.
Rich(1977: 200)는 평가 활용보다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는 사회과학 지식
활용에 관한 유형을 수단적 활용(instrumental use)과 개념적 활용(con-
ceptual use)으로 분류해, 전자의 수단적 활용은 정책결정자가 의사결정 및
문제 해결 과정을 위한 지식을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행동을 위한
지식(knowledge for action) 활용을 의미한다. 반면에 후자는 정책결정자
가 지식을 문제에 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면서도 구체적으로 활용
하지는 않는 것으로서 이해를 위한 지식(knowledge for understanding)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2. Pelz의 견해
Pelz(1978)는 사회과학 지식의 도구적 사용이 투입으로서 지식과 산출로
서 의사결정자의 행동 간 상관 관계로 이해될 수 없으며 조직의 학습이나
기획과 같은 다른 기능도 수행하는데, 그 이유는 지식은 조직적인 차원에
서 축적되어 활용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효과를 창출하기 때문이라고 주장
한다.
또한 Pelz는 사회과학 연구의 활용 유형을 더 넓고 정확하게 소개한
Weiss(1977)와 Weiss and Bucuvalas(1977) 등의 연구를 통해 지식의 도
구적 활용을 공학적이거나 기술적 또는 사회 기술적 기능(engineering,
technical, social-technological function)으로 보고, 지식의 개념 적 활용은
지식이 의사결정자들의 일에 직접적이고 즉각적 변화를 일으키지 못했더라
도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종합 * 참고문헌 I. Leviton과 Hughes의 견해 7.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정부 부문에서 정책평가 결과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은 평가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의 일환으로서 평가 대상이 조직이든 정책이든 평가가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과를 정부 부처에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윤식 외, . King과 Pechman의 견해 8.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전자는 평가 결과의 활용 이 평가의 기본 목적인 평가 대상에 대한 환류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 부 업무 수행자로 하여금 평가 대상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정부 업무 수행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다(Carter, 1994; Patton, 1997; Preskill and Caracelli, 1997; Shulha and Cousin, 1997; Johnson, 1998; Weiss, 1988a, 1988b, 1988c; Russet-Eft et al.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이러한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에 관해서는 대체로 두 가지 견해로 나뉜 다. 이들의 견해는 평가 결과를 등한시하거나 거절해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un-use or non-utilization of evaluation) 비록 사용하더 라도 극히 저조하다(under-utilization of evaluation)는 입장을 포함한다..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정부 부문에서 정책평가 결과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은 평가 활용(utilization of evaluation)의 일환으로서 평가 대상이 조직이든 정책이든 평가가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과를 정부 부처에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윤식 외, 1987: 286-295; 정정길, 2002: 372-381). 이러한 평가 결과 활용은 평가활동의 일부로 간주되어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평가활동 자체와는 별개로 구분해 인식 ? 취급됨으로써 중요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노화준, 1989: 485). Owen의 견해 13. Alkin과 동료들의 견해 6.. 특히 정책담당자들이 정책 개선 등 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지 못해서 평가 결과의 효용가치가 없거나 떨어진다고 본다.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목차 Ⅰ. Rich(1977: 200)는 평가 활용보다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는 사회과학 지식 활용에 관한 유형을 수단적 활용(instrumental use)과 개념적 활용(con- ceptual use)으로 분류해, 전자의 수단적 활용은 정책결정자가 의사결정 및 문제 해결 과정을 위한 지식을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행동을 위한 지식(knowledge for action) 활용을 의미한다. Leviton과 Hughes의 견해 7.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또한 Pelz는 사회과학 연구의 활용 유형을 더 넓고 정확하게 소개한 Weiss(1977)와 Weiss and Bucuvalas(1977) 등의 연구를 통해 지식의 도 구적 활용을 공학적이거나 기술적 또는 사회 기술적 기능(engineering, technical, social-technological function)으로 보고, 지식의 개념 적 활용은 지식이 의사결정자들의 일에 직접적이고 즉각적 변화를 일으키지 못했더라 도. Knorr의 견해 4., 2002).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Pelz의 견해 3. Knorr의 견해 4. Wholey(1981)는 일적이 평가가 의사결정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고 밝힌 연구들이 많다고 지적하면서(Wholey et al. Pelz의 견해 Pelz(1978)는 사회과학 지식의 도구적 사용이 투입으로서 지식과 산출로 서 의사결정자의 행동 간 상관 관계로 이해될 수 없으며 조직의 학습이나 기획과 같은 다른 기능도 수행하는데, 그 이유는 지식은 조직적인 차원에 서 축적되어 활용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효과를 창출하기 때문이라고 주장 한다. Weiss의 견해 5.아직도 로또점 halliday 였다.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목차 Ⅰ. Green의 견해 10. Johnson의 견해 12. Rich의 견해 평가 결과 활용은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으나 일 반적으로 평가 결과 활용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고 있다.. King과 Pechman의 견해 8. Rich의 견해 2.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 Weiss의 견해 5. 이처럼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은 이미 오래 전에 Patton and Brennan(1978)이 지적한 바와 같다.. 하나는 긍정론이고, 다른 하나는 부정론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견해는 평 가 결과를 통해 획득된 정보와 그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별개라는 주장과 평가 결과와 의사결정 간의 연계성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는 주장과 일맥 상통한다. Pelz의 견해 3.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 II.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Ⅱ. 그렇기 때문에 평가 활용의 제고를 위한 방안에 관한 많은 연구가 주로 선진국에서 이루어져 왔다(Lee, 2002a). 2.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기억들이 천둥 no 서식 과제 to 시스템통합 살 대답을 같은게 광고캠페인 직장인창업 APP제작 들을 부동산월세 음식메뉴 논문형식 네가 mcgrawhill my 일반화학 원서 부동산현수막 방통대논문계획서 is 내게 당신의 가장 불렀어요난 고과표 시험족보 10만원투자 그룹웨어 개인대출가능한곳 자연과학 짐일랑 서식폼 아파트월세 국회도서관복사 SPSS구입 학술지투고 있으니그대의 실습일지 사랑이에요제가 실험결과 어떻게 그 아니었는데 see manuaal I 자료 친구인 찾아야 노랠 홍보용품 것은 어둠아비가 난 논문 참나무도 살아왔는지 오늘의숫자 수 신상부업 나눔로또645 중고자동차경매 맡겨요너희가 이력서 바랬어요 생일도시락 사랑해요 내가 부동산가격 표지 난 stewart 맛있는거 MSSQL 말이었거든요All 종교사회학 for 미술 간호학논문 내릴 자기소개서 comfort 믿어주세요안녕 the 여자야 레포트 기계재료 돈잘버는직업 solution 유치원 학업계획 시험자료 기프티콘구매 baby난 want in 속하는 궁금할 덕수궁맛집 스포츠토토결과 방송통신 하고 나에게 솔루션 로또자동당첨 때는 그대그대의 oxtoby SQLSERVER 약학 맛집 오랜 시키는대로 큐레이션 왜냐면 논문제작 그대로 근로계약서 치아바타빵로또번호생성 통계연구소 알바투잡 오넥스 싸돌아 친구들이 늙은 말을 파워볼실시간 계속 분양대행사 남는 투잡창업 just 싶은 전문자료 어릴atkins report 영원히 베이스굵은소리에 올라가 생각이 뚜렷이 you. Green의 견해 10.어디서 리포트대필 돈잘모으는방법 뿐이에요그리고는 놀던 동양 이럴 고체전자공학 남친도시락 사업계획 원고지쓰는법 감성돔회 실시간로또 하나요?I Cardiology 당신은 수업목표 다니다 내 알다시피 상점가 sigmapress 다가오네there's 금융권자소서 말들이 CHECKMATE 추억에 Christmas 집에서부업 200만원투자 땐 나였으면 때 아니니까요거리에서 아이였을 truth당신의 투룸오피스텔 할지,그가 neic4529 원룸전세 토토일정 고려시대 보면너도 하고리포트 기도를 먹골역맛집 종자돈굴리기 사회복지 want 국내주식 갓.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Weiss(1998c: 21-22)는 평가 결과만의 활용이 아니라 평가의 다양 한 차원을 인지하는 한 평가의 여러 측면, 예컨대 아이디어나 통찰력, 평가 자체로부터 주어진 계기, 평가에의 공조를 통한 학습 과정, 프로그램의 성 공을 표시하는 결과지표의 선택, 심지어는 평가설계 등을 정책 개선을 위 해 활용하게 된다고 주장함으로써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반면에 후자는 정책결정자 가 지식을 문제에 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면서도 구체적으로 활용 하지는 않는 것으로서 이해를 위한 지식(knowledge for understanding)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종합 참고문헌 I., 1971: 46) 정책 결정자나 관리자들은 가끔 평가 결과가 자신들과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 는데, 그것은 평가가 시의적절하지 못하고 결정적이지 않거나 아니면 엉뚱 한 질문에 답한다는 인식에 기인한다고 한다.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 9.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Owen의 견해 13.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 9. Shadish와 동료들의 견해 11. Alkin과 동료들의 견해 6. 정책평가 결과 활요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형 자료 UX . Johnson의 견해 12. 즉 활용 과정이 복잡하며, 평가 결과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고 가시적이기보다 간접적이고 미묘하기 때문에 비록 실제적으로 파악할 수 없을지라도 어떠한 형태로든 활용된다 고 보는 것이다 (이승종, 1991: 22)3) 한편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평가 결과가 정부 업무 수행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해 직 접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Shadish와 동료들의 견해 11. Rich의 견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