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사태가 재발하지 않으려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레포트
이태원 참사 사태가 재발하지 않으려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내용
10~30대 청년 154명이 순식간에 숨졌습니다. 10월 29일 이태원에서 할로윈을 즐긴 사람들의 비극에 온 국민이 슬퍼하고 있다. 이 사고로 외국인 19명이 숨지고 132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할로윈 행사들이 희생자들을 애도하기 위해 취소되었다. 정부는 사고가 해결될 때까지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장례와 의료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월호 참사,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는 다른 정부의 발빠른 대응이 조금은 위안이 된다. 이번 사고는 붕괴도 침몰도 아니다. 나는 이런 사고가 정상적인 도로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 경사면에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도미노처럼 무너져 내린 사고였다고 한다. 서 있다가 압사했다는 증언도 있다. 304명이 숨진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최대 참사다. 이번 사고로 갑자기 가슴 아픈 상황을 맞은 유가족들을 위로하는 말은 한마디도 없을 것이다. 정말 슬픈 일이다. 피해자들의 문자메시지와 피해자 가족들의 사연이 다시 한번 가슴을 흔들고 있다. 정부는 물론 여야가 한마음 한뜻으로 사태 수습에 나섰다.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앞으로 발생할 추가적인 문제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우선 정부는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믿을 만한 대책을 마련해 발표해야 한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발표를 해도 대책이 안전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대책이 돼야 한다. 시행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돼야 한다. 둘째, 이재민 장례비를 정부가 지원한다고 하는데, 피해자 가족이나 현장에서 상황을 목격한 사람에 대한 심리치료 지원도 필요하다. 정신적 외상이 생긴 게 틀림없어 이들에 대한 심리치료 지원도 필수적이다. 셋째,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사전에 안전요원을 충분히 배치해야 한다. 이런 상황을 유사시 119구급대의 진로를 막는 주차를 보수하는 발판으로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도로 주정차를 전면 금지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민을 위한 안전 홍보 교육도 필요하다. 앞에는 `물러가라!`, 뒤에는 `밀어라!`라는 구호가 내걸린 것도 국민의 안전에 대한 인식 부족에 한몫했다. 다섯째, 재난이 예상되는 모든 지역의 홍수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