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가족, 장애아동 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레포트
[목차]
1. 장애인가족의 개념
2. 신체장애인가족
Ⅲ. 장애아동가족
1. 장애아동가족의 실태
2. 장애아동가족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3. 장애아동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
Ⅳ. 결론
Ⅴ. 기관방문
1. 기관소개
2. 자원봉사 및 어머님과의 인터뷰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1981)에 따르면 `장애인이라 함은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또는 정신지체 등 정신적 결함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라고 명시하고 있다.
장애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장애를 협의의 개념으로 받아들여 오로지 만성적인 의료적 상태로 보기도하고, 만성적인 신체적 혹은 정신적 상태로 인한 기능적인 결과에 초점을 두기도하며, 상이한 기능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산물로서 장애를 이해하기도 한다. 이렇듯 사람에 따라 장애에 대한 정의가 조금씩 다르지만 장애인을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영구적인 손상을 입거나 만성적인 신체적 혹은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으로 보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Murdrick, 1995:752).
따라서 장애인가족의 개념은 위에 내용을 근거한 장애를 지닌 당사자를 포함한 가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역시 장애의 유형에 따라 구분 될 수 있다. 다만 시설에 수용되어 가족과 접촉이 거의 없는 최중도장애인이나 시설보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지고 있지 않은 가족들은 동거라는 측면에서 보면 장애인 가족의 범주에서 제외될 수 있다.
2. 신체장애인 가족
1) 신체장애인 가족의 어려움
가족성원 중에 신체장애인이 생길 경우 그러한 현실을 사실로 받아들이기까지는 위기(crisis), 변천(trensition), 일시적인 안정화(temporary stabilization), 재적응(readaptation)등의 여러 단계를 거친다. 대개 가족성원들은 처음에는 손상을 받은 식구가 죽거나 그렇지 않으면 완전히 회복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중에 적응 단계에 가서야 가족들은 영구적인 장애의 가능성을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