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론 업로드 한국경제론-금리인하 보고서
[목차]
먼저 금리가 인하되면 차입비용이 낮아짐에 따라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고, 동시에 돈이 풀리면서 주가 상승에 따른 '부(富)의 효과(wealth effect)'와 통화가치 하락을 통해 소비와 수출이 늘어나 경기가 회복된다는 것.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이같은 이론을 근거로 한 거시경제 모형을 갖고 있다. 모형에 따르면 올 들어 금리를 3%포인트 내림에 따라 1년 안에 주가가 29% 상승하고 장기금리와 달러가치는 각각 0.9%포인트, 6% 떨어지는 것으로 돼있다. 실제로 FRB가 1960년 이후 작년 말까지 금리인하를 모두 열 한 차례에 걸쳐 단행한 결과는 대체로 모형과 비슷하게 맞아 떨어져왔다. 금리를 인하한 뒤 6개월 후에는 주가가 평균 7.5% 상승했고 장기금리와 달러가치는 각각 0.5%포인트, 1.1% 하락했다. 그러나 올 들어서는 상황이 정반대로 전개되고 있다.ƒ월초 첫 금리 인하로부터 6개월 동안 오히려 주가는 7.1% 떨어졌고, 장기금리와 달러가치는 각각 0.4%포인트,6.8% 상승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