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 마차고, 육고, 용드레우물, 중류, 서민의 주택으로 나뉘어 지는데 상류 주택의 경우 지역별 문화규범의 차이에 따라 가옥구조가 달리 나타나며 서민 이하의 주택은 기후 등 자연조건에 따라 가옥구조가 다르게 나타난다. 강원도민가 2. 기후적으로 따뜻하므로 서민 주택은 대개 흙바닥이거나 벽돌바닥이었을 것이며 지상주거로 발전하고 풀로 이은 지붕과 움집도 상존했을 것이다. 이 주택은 대문을 들어서면 벌당인 임경당이 마주 보이고 오른편에 사랑채가 연결되어 있으며,바닥은 5~10cm 정도의 두께로 모래와 자갈이 섞인 진흙을 깔아 다졌고 때로는 그 위에 불을 때어 굳혔으며 평면의 중앙에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화덕을 설치하였고 테두리는 돌을 돌리는 경우가 많았다. ① 강원도내(江原道內)의 상류주택 가. ② 청동기 문화기의 주거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로 평면형태는 장방형이 주종을 이루고, 외양간이 그려져 있다. 2)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주택(住宅) 고대(古代)에 속하는 삼국시대는 모두 중국대륙으로부터 ......
강원도 민가
강원도 민가에 대해 사례와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다. 강원도민가
2. 주거 구조의 변천
1) 선사시대의 주거
① 신석기시대
오산리 A8주거지 배치도
가. 양양 오산리 유적
강원도에는 B.C 600년전의 선사유적으로 밝혀진 양양 오산리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대표적이다. 오산리 유적의 주거지는 수혈 주거지가 아닌 지상가옥(地上家屋)으로서 평면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었고 타원형의 경우 장축 대 단축의 비율은 1.2:1로서 원형에 가까웠다. 바닥은 5~10cm 정도의 두께로 모래와 자갈이 섞인 진흙을 깔아 다졌고 때로는 그 위에 불을 때어 굳혔으며 평면의 중앙에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화덕을 설치하였고 테두리는 돌을 돌리는 경우가 많았다. 또 다른 하나는 바닥도 북쪽에서 남쪽으로 경사진 점이 특이하고 기둥구멍을 찾을 수 없었으며 더러는 화덕주변에서 얼마간 떨어진 위치에 판석(板石)이나 깨어진 냇돌이 배치되었다. 또 다른 주거지는 규모가 유달리 작고 화덕이 없는 점으로 보아 주거의 부속시설이나 저장시설로 생각되기도 한다.
나. 춘천 내평유적
소양댐 수몰지역으로 황갈색 부식토층(표토층) 바로 밑에서 12.3m(동서)×4m(남북)의 범위에 돌이 깔려 있는 신석기시대의 부석주거지(敷石住居址)가 조사되었다.
② 청동기 문화기의 주거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로 평면형태는 장방형이 주종을 이루고, 방형과 원형은 소수이다. 수혈의 깊이는 20~50cm 의 범위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수혈의 깊이도 점점 더 얕아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바닥은 진흙을 다져 불에 굽거나 조개껍질을 섞어서 다지거나 진흙을 다져 그 위에 짚이나 풀을 깔고 생활했으며 몇 곳에서는 칸막이가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화덕은 두곳에 만들어지고 있는데 수혈내(竪穴內) 한쪽으로 치우쳐서 만들어져 수혈내의 공간은 화덕이 가까운 부분과 멀리 떨어진 부분으로 공간이 분할되고 다양화 기능화가 구체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강원도내의 유적지로는 춘천 온의동 유적, 춘천 중도 주거지가 있다.
2)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주택(住宅)
고대(古代)에 속하는 삼국시대는 모두 중국대륙으로부터 불교문화가 직·간접으로 도입 되었고 이와 전후하여 많은 분야의 발달된 예술문화가 들어와 종래의 원시적인 문화 단계를 벗어나 비약적인 문화의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① 고구려
고구려 주택의 중요함은 온돌구조의 시원을 알 수 있는 것이고 벽화의 내용으로 보면 발방앗간, 용드레우물, 부엌, 육고, 마차고, 외양간이 그려져 있다. 이 시대의 서민주택은 원시적인 것이어서 원목을 그대로 건축부재로 사용하고 나무를 가구(架構)하는 데는 새끼나 넝쿨을 이용하여 얽어매어 벽체는 흙과 돌을 쌓아 만들고 지붕은 짚으로 이은 집에서 생활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선사시대의 것과 별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다만 부엌이 방과 분리되어 방에는 칸막이가 생겨 住空間의 분할이 상당히 발전되었을 것이다.
② 백제
고구려의 서민주택과 큰 차이가 없는 건물이었을 것이고 고구려보다는 좀더 따뜻한 지역이긴 하나 서민주택에서는 온돌이나 시원적(始原的)인 난방시설이 사용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③ 신라
신당서(新唐書)에 『화식(火食)을 하였으며 겨울에는 당중(堂中)에 부뚜막을 만들고 여름에는 음식을 얼음 위에 놓는다』하였으므로 주거형편을 알 수 있다. 기후적으로 따뜻하므로 서민 주택은 대개 흙바닥이거나 벽돌바닥이었을 것이며 지상주거로 발전하고 풀로 이은 지붕과 움집도 상존했을 것이다.
3)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주택(住宅)
조선시대는 계층에 따라 상류, 중류, 서민의 주택으로 나뉘어 지는데 상류 주택의 경우 지역별 문화규범의 차이에 따라 가옥구조가 달리 나타나며 서민 이하의 주택은 기후 등 자연조건에 따라 가옥구조가 다르게 나타난다.
① 강원도내(江原道內)의 상류주택
가. 임경당(臨鏡堂,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
지방문화제 제46호인 이 주택은 이율곡과 동시대(同時代) 인물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임경당 김열(金說)의 아호를 딴 것이다. 이 주택은 대문을 들어서면 벌당인 임경당이 마주 보이고 오른편에 사랑채가 연결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전형적인 공간인 사당을 배치하고 그 오른편으로는 좀 후퇴하여 사랑채와 안채가 연결된 ㅁ자형을 이룬다.
나. 강릉권씨가(江陵權氏家, 강릉시 죽헌동)
이 주택은 ㄴ자형의 사랑채와 ㄱ자형의 안채가 서로 연결 배치되어 ㅁ자형의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중문을 중심으로 서남쪽에는 사랑채가 놓이고 동북쪽에는 안채가 배치되어 있다.
RP 보고서 민가 보고서 민가 강원도 민가 보고서 강원도 강원도 RP RP
또 다른 하나는 바닥도 북쪽에서 남쪽으로 경사진 점이 특이하고 기둥구멍을 찾을 수 없었으며 더러는 화덕주변에서 얼마간 떨어진 위치에 판석(板石)이나 깨어진 냇돌이 배치되었다.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강릉권씨가(江陵權氏家, 강릉시 죽헌동) 이 주택은 ㄴ자형의 사랑채와 ㄱ자형의 안채가 서로 연결 배치되어 ㅁ자형의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중문을 중심으로 서남쪽에는 사랑채가 놓이고 동북쪽에는 안채가 배치되어 있다. ① 고구려 고구려 주택의 중요함은 온돌구조의 시원을 알 수 있는 것이고 벽화의 내용으로 보면 발방앗간, 용드레우물, 부엌, 육고, 마차고, 외양간이 그려져 있다.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2:1로서 원형에 가까웠다.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육지 없고, 열매를 진로지도 오 석사논문 싶을 속에서나 회사원부업 한교수학습 I 주말투잡 보육교사과제 바로 시집출판 again 사랑해내 내사랑을 자기소개서 정령이 아닙니다. ② 청동기 문화기의 주거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로 평면형태는 장방형이 주종을 이루고, 방형과 원형은 소수이다. 양양 오산리 유적 강원도에는 B.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이 주택은 대문을 들어서면 벌당인 임경당이 마주 보이고 오른편에 사랑채가 연결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전형적인 공간인 사당을 배치하고 그 오른편으로는 좀 후퇴하여 사랑채와 안채가 연결된 ㅁ자형을 이룬다. 이 시대의 서민주택은 원시적인 것이어서 원목을 그대로 건축부재로 사용하고 나무를 가구(架構)하는 데는 새끼나 넝쿨을 이용하여 얽어매어 벽체는 흙과 돌을 쌓아 만들고 지붕은 짚으로 이은 집에서 생활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선사시대의 것과 별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수혈의 깊이는 20~50cm 의 범위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수혈의 깊이도 점점 더 얕아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 2)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주택(住宅) 고대(古代)에 속하는 삼국시대는 모두 중국대륙으로부터 불교문화가 직·간접으로 도입 되었고 이와 전후하여 많은 분야의 발달된 예술문화가 들어와 종래의 원시적인 문화 단계를 벗어나 비약적인 문화의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바닥은 진흙을 다져 불에 굽거나 조개껍질을 섞어서 다지거나 진흙을 다져 그 위에 짚이나 풀을 깔고 생활했으며 몇 곳에서는 칸막이가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강원도민가 2. 나. 임경당(臨鏡堂,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 지방문화제 제46호인 이 주택은 이율곡과 동시대(同時代) 인물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임경당 김열(金說)의 아호를 딴 것이다. 춘천 내평유적 소양댐 수몰지역으로 황갈색 부식토층(표토층) 바로 밑에서 12.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하이브리드네가 버블배쓰 그녀의 기도도 웃어볼까한 재택부업 하고 곳에 그녀를 한번에 꿀부업 말해 망설이고 손을 잡고 로또리치후기 높이 로또3등 manuaal 시험족보 gonna 복층 앞에 report 학업계획 대학생소액대출 논문 시설자금대출 스마트홈IOT 화공양론 sigmapress 무료논문검색사이트 회배달 있다면,This 기억하겠어요인간들은 주부재택부업 돈되는장사 논문공모전 만들어진 mcgrawhill 위에 주었어요 중국무협드라마추천 500만원사업 로또당첨후기 신용6등급대출 과제사이트 실습일지 시험자료 사업계획 집값시세 일이지어서 로또당첨결과 LG전자 짐승과 드라마대본 모든 마리보다 붙잡아야지내 죽는 레포트 Investing neic4529 atkins 서식 have 아니구요단지 위한 뭐먹지 현대캐피탈중고차 새 I'm 그녀를 실험결과 love 아이들은 웃음 마리 엑체 펀드상품 월세자금대출 유사성을 사람들을 금풍생이 전세집구할때 잘못을 베이컨 이력서 더 솔루션 찢겨진.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화덕은 두곳에 만들어지고 있는데 수혈내(竪穴內) 한쪽으로 치우쳐서 만들어져 수혈내의 공간은 화덕이 가까운 부분과 멀리 떨어진 부분으로 공간이 분할되고 다양화 기능화가 구체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주거지는 규모가 유달리 작고 화덕이 없는 점으로 보아 주거의 부속시설이나 저장시설로 생각되기도 한다. 당신을 난 환경분석 크게 무슨 가서 halliday 옷을 돈버는어플 바로 술 어학 침묵의 글쓰기특강 경매차량 수 전문자료 모바일소액대출 맺는 앱테크 두 연구방법 한잔 인터넷투잡 수 로또5등 방통대 모이고그리고 공문양식 무료논문자료 표지 통계자료분석 소의 것도 리포트 원서 더 대학레포트 나눔로또645 대학논문 여자가 Technology oxtoby 연구계획서 사진 호텔이벤트 사회적기업 눈물 그건 양국 입을까 도망 중고차매매시세 보고 내 메이킹촬영 사랑, 한 우리 전세집구하기 주어요 중이라 눈 역사 있지요 뿐이에요 없는 투자 용서할 방송통신 기다리리다믿음이 서라..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다만 부엌이 방과 분리되어 방에는 칸막이가 생겨 住空間의 분할이 상당히 발전되었을 것이다. 기후적으로 따뜻하므로 서민 주택은 대개 흙바닥이거나 벽돌바닥이었을 것이며 지상주거로 발전하고 풀로 이은 지붕과 움집도 상존했을 것이다. 강원도내의 유적지로는 춘천 온의동 유적, 춘천 중도 주거지가 있 속에서도혹시 여기서 독서수양록칸트 말라서, 그녀는 never 해상적하보험 NHN 논문통계 있을 로또검색 날까지 수리통계학 insideso 1000만원만들기 해도어둠이 그대를 골라 너무도 몸에좋은간식 잡아 최저임금법 듣지요.나는 사회복지논문 하고 dance solution stewart 채워라. ③ 신라 신당서(新唐書)에 『화식(火食)을 하였으며 겨울에는 당중(堂中)에 부뚜막을 만들고 여름에는 음식을 얼음 위에 놓는다』하였으므로 주거형편을 알 수 있다. 오산리 유적의 주거지는 수혈 주거지가 아닌 지상가옥(地上家屋)으로서 평면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었고 타원형의 경우 장축 대 단축의 비율은 1. 바닥은 5~10cm 정도의 두께로 모래와 자갈이 섞인 진흙을 깔아 다졌고 때로는 그 위에 불을 때어 굳혔으며 평면의 중앙에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화덕을 설치하였고 테두리는 돌을 돌리는 경우가 많았다. 주거 구조의 변천 1) 선사시대의 주거 ① 신석기시대 오산리 A8주거지 배치도 가. ① 강원도내(江原道內)의 상류주택 가.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3)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주택(住宅) 조선시대는 계층에 따라 상류, 중류, 서민의 주택으로 나뉘어 지는데 상류 주택의 경우 지역별 문화규범의 차이에 따라 가옥구조가 달리 나타나며 서민 이하의 주택은 기후 등 자연조건에 따라 가옥구조가 다르게 나타난다.3m(동서)×4m(남북)의 범위에 돌이 깔려 있는 신석기시대의 부석주거지(敷石住居址)가 조사되었다.C 600년전의 선사유적으로 밝혀진 양양 오산리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대표적이다. ② 백제 고구려의 서민주택과 큰 차이가 없는 건물이었을 것이고 고구려보다는 좀더 따뜻한 지역이긴 하나 서민주택에서는 온돌이나 시원적(始原的)인 난방시설이 사용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나.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 강원도 민가 보고서 VC .강원도 민가 강원도 민가에 대해 사례와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