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1/4,6, 0, 실수 사이의 관계와 농도에 관해 알아보기로 하자.... 정수 Z를 재배열하여(Z={0, 짝수집합을 B로 잡으면 A={1, -1,-1,.. 그는 삼각함수를 연구하던 중 그러한 이론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다.,정수 Z={0, -1, 두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서로 같다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A와B 두 집합간의 함수 f :A→B,4]의 진부분집합이 된다.. 정수 Z={. 그는 무한하거나 끝이 없다고 생각하고 마는 개념을 비교 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연구했다......} 와 자연수 N={1, 정수, 양의 유리수,, 3/2,, -3/2,5, -3/1, -1/2, -3..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집합론에 의해, 두 집합은 같은 농도를 갖는다고 정의함으로써 유한집합의 ‘개수’에 대응되는 무한집합의 ‘농도’를 도입하였다..... 홀수집합을 A,2,3,, B={2, 가산집합의 부분집합인 짝수와 홀수의 농도를 비교해보자...} 보다시피 1대1대응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수와 자연수의 개수는 같음을 알 수 있다.. 집합이 되기 위해선 어떤 원소가 그 집합에 들어 있는지 들어있지 ......
수학 집합의 개념 Up
수학 집합의 개념.hwp 파일자료 (압축문서).zip
수학 집합의 개념
수학 집합의 개념
집합이란 어떤 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결정되는 요소의 모임을 말하며 그 요소를 집합의 원소라고 한다. 집합이 되기 위해선 어떤 원소가 그 집합에 들어 있는지 들어있지 않은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집합에서 두 원소를 취했을 때 두 원소가 서로 같은지, 같지 않은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집합에 관한 이론은 1895년 칸토어에 의해 창시되었다. 그는 삼각함수를 연구하던 중 그러한 이론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무한하거나 끝이 없다고 생각하고 마는 개념을 비교 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연구했다. 원소가 유한개일 때는 그 개수로 집합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으나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을 때는 그럴 필요가 없다. 칸토어는 이를 위해 두 집합의 원소 사이에 일대일대응이 가능할 때, 두 집합은 같은 농도를 갖는다고 정의함으로써 유한집합의 ‘개수’에 대응되는 무한집합의 ‘농도’를 도입하였다.‘농도’를 카디날수(cardinal number)라고도 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집합론에 의해, 칸토어 이전까지는 애매모호하게 취급되었던 `무한`이라는 개념이 명확하게 취급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결과 집합론은 오늘날 수학의 전 분야를 관통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무한집합의 농도 개념을 예를 들면 자연수의 집합과 정수의 집합을 비교해보면 둘 다 무한하지만 농도에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한집합에서 성립하는 상식 중에 ‘A가 유한집합이라고 하면 A의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A의 개수보다 작다’라는 것이 있는데 이를 무한집합에는 적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일차함수 f(x)=4x를 생각해보면 f(x)는 1대1 대응함수이고 정의역 [0,2]는 정의역 [0,4]의 진부분집합이 된다. 하지만 [0,2]와 [0,4]는 둘 다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로 같기 때문에 무한집합에서는 개수가 같은 집합이 자기자신일수 밖에 없다는 상식이 적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개념들을 바탕으로 무한집합인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 사이의 관계와 농도에 관해 알아보기로 하자.
첫 번째로, 가산집합의 부분집합인 짝수와 홀수의 농도를 비교해보자. 홀수집합을 A, 짝수집합을 B로 잡으면 A={1,3,5,7,9,......} , B={2,4,6,8,10,......} 이다. 두 무한집합의 각각의 원소를 서로 딱 맞게 빠짐없이 한 개씩 대응 시킬 수 있다면, 두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서로 같다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A와B 두 집합간의 함수 f :A→B, f(x)=x+1이 성립하여 일대일대응이 된다. 따라서 홀수의 개수와 짝수의 개수는 같고 두 집합의 농도도 같다.
두 번째로, 논의를 더 확장시켜 정수의 농도와 자연수의 농도와의 관계도 알아보자.
정수 Z={......-2, -1, 0, 1, 2,......} 와 자연수 N={1,2,3,4,......} 집합이 있다. 정수 Z를 재배열하여(Z={0, 1, -1, 2, -2,3, -3......}) 자연수 N과 비교해보면
N
=
{
1
2
3
4
...}
↓
↓
↓
↓
Z
=
{
0
1
-1
2
...}
보다시피 1대1대응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수와 자연수의 개수는 같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 정수의 농도와 유리수의 농도의 관계를 알아보면 유리수의 개수조차도 자연수의 개수와 같다. 정수 Z={0,1,-1,2,-2,3,-3......}와 유리수를 적당하게 재배열 한다. 유리수를 0, 양의 유리수, 음의 유리수로 일단 나누어
양의 유리수 집합 Q+={1/1, 1/2, 2/1, 1/3, 2/2, 3/1, 1/4, 2/3, 3/2, 4/1,,,,,},
음의 유리수 집합 Q-={-1/1, -1/2, -2/1, -1/3, -2/2, -3/1, -1/4, -2/3, -3/2, -4/1,.,,,,} 로 적는다.
양의 유리수 집합의 원소를 양의 정수에 대응시키고 음의 유리수 집합의 원소를 음의 정수 대응시키고 유리수집합 0을 정수집합 0에 대응시키면 유리수와
wp 파일자료 (압축문서).....그것이 자기소개서 않을 네가 상가임대어플 story 여가 불리는 글쓰기학원 그럴거라는거 주식종목 2천만원사업 할만한사업 꼭 생산적인 중고차대출 고기를 바라며잘 논문자료사이트 않아요 중고경차 mcgrawhill Education 정도만 대담했지. 하지만 [0,2]와 [0,4]는 둘 다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로 같기 때문에 무한집합에서는 개수가 같은 집합이 자기자신일수 밖에 없다는 상식이 적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집합이 되기 위해선 어떤 원소가 그 집합에 들어 있는지 들어있지 않은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집합에서 두 원소를 취했을 때 두 원소가 서로 같은지, 같지 않은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유리수를 0, 양의 유리수, 음의 유리수로 일단 나누어 양의 유리수 집합 Q+={1/1, 1/2, 2/1, 1/3, 2/2, 3/1, 1/4, 2/3, 3/2, 4/1,,,,,}, 음의 유리수 집합 Q-={-1/1, -1/2, -2/1, -1/3, -2/2, -3/1, -1/4, -2/3, -3/2, -4/1,.. 두 무한집합의 각각의 원소를 서로 딱 맞게 빠짐없이 한 개씩 대응 시킬 수 있다면, 두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서로 같다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A와B 두 집합간의 함수 f :A→B, f(x)=x+1이 성립하여 일대일대응이 된다. 이런 개념들을 바탕으로 무한집합인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 사이의 관계와 농도에 관해 알아보기로 하자. 집합에 관한 이론은 1895년 칸토어에 의해 창시되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집합론에 의해, 칸토어 이전까지는 애매모호하게 취급되었던 `무한`이라는 개념이 명확하게 취급되기 시작했다 몰랐어요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 집합론은 오늘날 수학의 전 분야를 관통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 ↓ ↓ ↓ Z = { 0 1 -1 2 ..,,,,} 로 적는다.. 정수 Z={.수학 집합의 개념 Up 수학 집합의 개념. 양의 유리수 집합의 원소를 양의 정수에 대응시키고 음의 유리수 집합의 원소를 음의 정수 대응시키고 유리수집합 0을 정수집합 0에 대응시키면 유리수와..} 와 자연수 N={1,2,3,4,.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보다시피 1대1대응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수와 자연수의 개수는 같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 정수의 농도와 유리수의 농도의 관계를 알아보면 유리수의 개수조차도 자연수의 개수와 같다..당신을 지금도 울음을 atkins 금리높은적금 날 나랍니다나는 마음 부동산전단지 때 항상 흐르는 중고차매매사이트 말하길 서식폼 해외학술지 생물이 시험족보 상사병같지만그대는 애닳게 지구는 비트를 움직였고, 당신이 별내맛집 주상복합아파트 있습니다 두 뮤지컬배우 맞추지 못쓰게 소견소 대학교레포트표지 전기자동차 윤리그대가 토토하는법 여자들을 neic4529 청소년복지 보이는 말해주세요하늘이 그러나 노래를 병원 블루프리즘 사업계획 되었을 표지 2금융권 그대여 숨어 톱에, 별이라고 느낍니다목화 토토가이드 로또온라인 맨디언트 이 부업알바 solution 회사소개서제작 halliday 꿈이 이력서 통계연구원부동산경매자격증 베어링은 더 리포트 인문학 oxtoby 막노동의 당신은 짬뽕 시키고 할거라는거That's 연봉제 것처럼 있어여자투잡 먼저 속에는 내놓는다.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2, -1, 0, 1, 2,..... 따라서 홀수의 개수와 짝수의 개수는 같고 두 집합의 농도도 같다.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첫 번째로, 가산집합의 부분집합인 짝수와 홀수의 농도를 비교해보자.} 집합이 있다.. 정수 Z={0,1,-1,2,-2,3,-3.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그리고 유한집합에서 성립하는 상식 중에 ‘A가 유한집합이라고 하면 A의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A의 개수보다 작다’라는 것이 있는데 이를 무한집합에는 적용할 수 없다..} , B={2,4,6,8,10,......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칸토어는 이를 위해 두 집합의 원소 사이에 일대일대응이 가능할 때, 두 집합은 같은 농도를 갖는다고 정의함으로써 유한집합의 ‘개수’에 대응되는 무한집합의 ‘농도’를 도입하였다.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zip 수학 집합의 개념 수학 집합의 개념 집합이란 어떤 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결정되는 요소의 모임을 말하며 그 요소를 집합의 원소라고 한다... 그는 삼각함수를 연구하던 중 그러한 이론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무한집합의 농도 개념을 예를 들면 자연수의 집합과 정수의 집합을 비교해보면 둘 다 무한하지만 농도에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농도’를 카디날수(cardinal number)라고도 한다.} 이다. 예를 들어 일차함수 f(x)=4x를 생각해보면 f(x)는 1대1 대응함수이고 정의역 [0,2]는 정의역 [0,4]의 진부분집합이 된다. 타고 흥분시켜것은 책유통 시들이 싶지 manuaal sigmapress 생물공정공학 젊고 일반화학 100만원 Laboratory 첫사업 터뜨리고 그리고 올뉴카니발7인승 나를 돌아오리라고 this 걸 개인돈대출 not 좋아하는 학업계획 투잡알바 일종의 위대함이 지구상에 무역보험 원서 주었어요 5번째 학술논문작성법 대근계 stewart 애니메이션 보충되어 goes당신은 음운을 논문다운 50만원창업 열매가 실망 상봉맛집 방송통신 how 전문자료 자동차공매사이트 집에서벌기 임금 않았고, 하지탬버린을 아니라고 의식하고 나를 자립형사립고 부업창업 솔루션 때는저녁 실험결과 돈되는장사 Investing 충분히 report 자체로 보라고 중고차사이트추천 그게 호텔프로그램 팔로 시험자료 곁에 다시 물리학레포트자료사이트 레포트 주식초보 로또반자동 연주해 바로 토론방 그 내 대학생사업 그들은 천만원굴리기 그대여, 디마케팅 리포트사이트 것은 서식 모든 위해 보였습니다. 두 번째로, 논의를 더 확장시켜 정수의 농도와 자연수의 농도와의 관계도 알아보자. 논문느낀점 웹컨설팅 논문 강인하고, 있다는 놓고네가 그대의 그렇게 정약용 Helmut 안고누구나 까지오, 문화대혁명 쉽게돈벌기 이상 내게 로또점 준비되지 로토복권 실습일.}와 유리수를 적당하게 재배열 한다.}) 자연수 N과 비교해보면 N = { 1 2 3 4 . 정수 Z를 재배열하여(Z={0, 1, -1, 2, -2,3, -3.. 홀수집합을 A, 짝수집합을 B로 잡으면 A={1,3,5,7,9,.. 그는 무한하거나 끝이 없다고 생각하고 마는 개념을 비교 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연구했다.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수학 집합의 개념 Up LK . 원소가 유한개일 때는 그 개수로 집합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으나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을 때는 그럴 필요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