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연쇄 파산. 결론 및 Q&A Part 6.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빌릴 때의 금리 와 갚을때의 금리가 다르다 6. 하지만 양적완화를 축소 하게되면 6. 양적완화 축소(출구전략) Part 5. 그렇다면 경상수지 악화 상대국의 수출감소 수입증가 3. 대응과제 금융시장 모니터링 강화 원화 가치의 상승 및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 선진국과 세계 경기 회복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추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 시장 금리 상승시 가계부채 부담으로 인한 내수 위축 가능성에도 대비 7.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은행 및 기업 연쇄파산 달러($) ← Key currency -양적완화를 통해 미국 국내 및 세계경제 활성화 도모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실업률 증가, 3차) 1차 양적완화(QE1) 시기 : 2009년 3월 ~ 9월 규모 : 1조 725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국채(3000억 달러), 3차) 1. 양적완화 축소 출구전략 : 각종 완화정책 부작용 x → 서서히 ......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Quantitative Easing
INDEX
Part 1. 양적완화 란
Part 2. 양적완화 긍정적인 효과
Part 3. 양적완화 부정적인 효과
Part 7. 결론 및 Q&A
Part 6. 양적완화 축소의 부정적인 효과
Part 4. 양적완화 축소(출구전략)
Part 5. 양적완화 축소의 긍정적인 효과
1. 양적완화란
양적완화란
중앙은행이 통화를 시중에 직접 공급해 경기불황을 해소하고,
경기를 활성화하는 통화정책
양적완화 배경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발생
-가계 부채증가, 실업률 증가, 은행 및 기업 연쇄파산
달러($) ← Key currency
-양적완화를 통해 미국 국내 및 세계경제 활성화 도모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1. 양적완화란
1.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1차 양적완화(QE1)
시기 : 2009년 3월 ~ 9월
규모 : 1조 725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국채(3000억 달러), 연방기관채권(1,570억 달러),
MBS(주택담보부증권 680억 달러)
2차 양적완화(QE2)
시기 : 2010년 3월 ~ 2011년 6월
규모 : 600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장기물 국채, MBS(주택담보부증권)
1.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3차 양적완화
시기 : 2012년 9월 ~ 시행 중
규모 : 매달 400억달러 → 850억달러(12년 12월)
매입대상 채권 : MBS(주택담보부증권)
2. 양적완화 긍정적 영향
긍적적 영향
◆국내
화폐공급 증가(통화량) 통화가치하락(환율하락)
⇒ 수출경쟁력 강화(시장경제 활성화)
◇국외
수입증가(외환보유량 증가) 해외투자(진출) 활성화
국내 기업 투자증가(상대국보다 높은 이자율) 기업 성장
실업률 하락, 소비시장 활성화
3.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달러화 약세로 인한 수출증가
한국 제품 미국으로 수출 감소
3.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신흥 국으로 몰리는 자금
양적완화를 했을 시 환차익이나 금리차익을 노리고 경제성장이
큰 신흥국들로 투기자금이 몰리게 된다.
그렇다면
경상수지
악화
상대국의
수출감소
수입증가
3.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양적완화는 비전통적이고 인위적인 정책
자국의
수출증가
자국의
수입감소
자국의
화폐가치
인위적으로
축소
4. 양적완화 축소
양적 완화 축소 : 달러 공급중단 및 거두어 들임
Why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초래
4. 양적완화 축소
4. 양적완화 축소
출구전략 : 각종 완화정책 부작용 x → 서서히 거두어 들임
4. 양적완화 축소
양적완화축소(출구전략)로 인한 우리나라 영향
4. 양적완화 축소
세계 경제 영향
-중국 : 그림자 금융 문제 → 더 큰
영향
-일본 : 아베노 믹스 → 성공여부
-주요신흥국 : 기축통화 보유부족
-유럽 : 장기적으로 큰 영향 → 대
형 금융기관
5. 양적완화 축소 긍정적 영향
외환시장
달러 공급 축소
외환시장 초과수요
=달러가치 상승
원화가치 하락
=평가절하
원/달러 환율 상승
대미 수출 증가
5. 양적완화 축소 긍정적 영향
BP곡선식으로 알아보는 금융부문과 실물부문
국제수지=경상수지 + 자본수지
BP=CA(X-Q) + KA(r-r’)=0 (균형)
BP=CA(X-Q) + KA(r-r’ )`0 (적자)
BP=CA(X-Q) + KA(r-r’)=0(균형) Or `0(흑자)
BP=CA(X-Q) + KA(r-r’)`0(적자)
BP=CA(X-Q) + KA(r-r’)=0(균형)
6.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양적완화로 인해 상승된 물가.
하지만 양적완화를 축소 하게되면
6.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빌릴 때의 금리 와 갚을때의 금리가 다르다
6.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출구전략으로 인한 신흥국의 주가 하락.
7. 최종 결론
결론
최종 결론
국제수지
흑자 행진
외환보유액 증가
외환 보유고 탄탄
단기 유출 충분히 해결
7. 최종 결론
7. 평가 및 대응과제
평가
양적완화 축소 했을 시 국내 시장의 해외 자금 유입 확대 및
가격경쟁력 강화로 인한 수출증가라는 장점을 가져온다.
대응과제
금융시장 모니터링 강화
원화 가치의 상승 및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
선진국과 세계 경기 회복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추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
시장 금리 상승시 가계부채 부담으로 인한 내수 위축 가능성에도 대비
7. 질의 응답
Q & A
_NOTES_1_
2
_NOTES_2_
3
_NOTES_3_
-부동산시장 과열로 인한 무리한 주택담보대출(저금리) 실시
-부동산시장의 거품증가 정부의 금리조절(상승)
-부동산시장 경색(가격 폭락)
-거액의 대출금, 높은금리로 인한 상환금 증가
-사람, 기업 연쇄 파산
양적완화 긍정적인 효과 Part 3.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양적완화는 비전통적이고 인위적인 정책 자국의 수출증가 자국의 수입감소 자국의 화폐가치 인위적으로 축소 4.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출구전략으로 인한 신흥국의 주가 하락. 양적완화 축소 긍정적 영향 외환시장 달러 공급 축소 외환시장 초과수요 =달러가치 상승 원화가치 하락 =평가절하 원/달러 환율 상승 대미 수출 증가 5.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빌릴 때의 금리 와 갚을때의 금리가 다르다 6. 양적완화 축소 긍정적 영향 BP곡선식으로 알아보는 금융부문과 실물부문 국제수지=경상수지 + 자본수지 BP=CA(X-Q) + KA(r-r’)=0 (균형) BP=CA(X-Q) + KA(r-r’ )`0 (적자) BP=CA(X-Q) + KA(r-r’)=0(균형) Or `0(흑자) BP=CA(X-Q) + KA(r-r’)`0(적자) BP=CA(X-Q) + KA(r-r’)=0(균형) 6.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신흥 국으로 몰리는 자금 양적완화를 했을 시 환차익이나 금리차익을 노리고 경제성장이 큰 신흥국들로 투기자금이 몰리게 된다. 양적완화 축소 세계 경제 영향 -중국 : 그림자 금융 문제 → 더 큰 영향 -일본 : 아베노 믹스 → 성공여부 -주요신흥국 : 기축통화 보유부족 -유럽 : 장기적으로 큰 영향 → 대 형 금융기관 5. 양적완화 긍정적 영향 긍적적 영향 ◆국내 화폐공급 증가(통화량) 통화가치하락(환율하락) ⇒ 수출경쟁력 강화(시장경제 활성화) ◇국외 수입증가(외환보유량 증가) 해외투자(진출) 활성화 국내 기업 투자증가(상대국보다 높은 이자율) 기업 성장 실업률 하락, 소비시장 활성화 3.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3차 양적완화 시기 : 2012년 9월 ~ 시행 중 규모 : 매달 400억달러 → 850억달러(12년 12월) 매입대상 채권 : MBS(주택담보부증권) 2.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1차 양적완화(QE1) 시기 : 2009년 3월 ~ 9월 규모 : 1조 725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국채(3000억 달러), 연방기관채권(1,570억 달러), MBS(주택담보부증권 680억 달러) 2차 양적완화(QE2) 시기 : 2010년 3월 ~ 2011년 6월 규모 : 600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장기물 국채, MBS(주택담보부증권) 1.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신흥 국으로 몰리는 자금 양적완화를 했을 시 환차익이나 금리차익을 노리고 경제성장이 큰 신흥국들로 투기자금이 몰리게 된다.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달러화 약세로 인한 수출증가 한국 제품 미국으로 수출 감소 3. 양적완화 축소 긍정적 영향 외환시장 달러 공급 축소 외환시장 초과수요 =달러가치 상승 원화가치 하락 =평가절하 원/달러 환율 상승 대미 수출 증가 5.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빌릴 때의 금리 와 갚을때의 금리가 다르다 6. 최종 결론 7. 그렇다면 경상수지 악화 상대국의 수출감소 수입증가 3. 평가 및 대응과제 평가 양적완화 축소 했을 시 국내 시장의 해외 자금 유입 확대 및 가격경쟁력 강화로 인한 수출증가라는 장점을 가져온다. 최종 결론 결론 최종 결론 국제수지 흑자 행진 외환보유액 증가 외환 보유고 탄탄 단기 유출 충분히 해결 7. 양적완화란 양적완화란 중앙은행이 통화를 시중에 직접 공급해 경기불황을 해소하고, 경기를 활성화하는 통화정책 양적완화 배경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발생 -가계 부채증가, 실업률 증가, 은행 및 기업 연쇄파산 달러($) ← Key currency -양적완화를 통해 미국 국내 및 세계경제 활성화 도모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1.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양적완화 긍정적 영향 긍적적 영향 ◆국내 화폐공급 증가(통화량) 통화가치하락(환율하락) ⇒ 수출경쟁력 강화(시장경제 활성화) ◇국외 수입증가(외환보유량 증가) 해외투자(진출) 활성화 국내 기업 투자증가(상대국보다 높은 이자율) 기업 성장 실업률 하락, 소비시장 활성화 3. 양적완화 축소의 부정적인 효과 Part 4.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1차 양적완화(QE1) 시기 : 2009년 3월 ~ 9월 규모 : 1조 725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국채(3000억 달러), 연방기관채권(1,570억 달러), MBS(주택담보부증권 680억 달러) 2차 양적완화(QE2) 시기 : 2010년 3월 ~ 2011년 6월 규모 : 6000억 달러 매입대상 채권: 장기물 국채, MBS(주택담보부증권) 1. 결론 및 Q&A Part 6. 하지만 양적완화를 축소 하게되면 6. 양적완화 란 Part 2. 양적완화 축소(출구전략) Part 5. 양적완화 축소 출구전략 : 각종 완화정책 부작용 x → 서서히 거두어 들임 4.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양적완화로 인해 상승된 물가. 양적완화 축소 양적완화축소(출구전략)로 인한 우리나라 영향 4.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양적완화는 비전통적이고 인위적인 정책 자국의 수출증가 자국의 수입감소 자국의 화폐가치 인위적으로 축소 4. 양적완화란 1. 최종 결론 7. 대응과제 금융시장 모니터링 강화 원화 가치의 상승 및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 선진국과 세계 경기 회복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추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 시장 금리 상승시 가계부채 부담으로 인한 내수 위축 가능성에도 대비 7.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최종 결론 결론 최종 결론 국제수지 흑자 행진 외환보유액 증가 외환 보유고 탄탄 단기 유출 충분히 해결 7.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출구전략으로 인한 신흥국의 주가 하락. 양적완화 축소 세계 경제 영향 -중국 : 그림자 금융 문제 → 더 큰 영향 -일본 : 아베노 믹스 → 성공여부 -주요신흥국 : 기축통화 보유부족 -유럽 : 장기적으로 큰 영향 → 대 형 금융기관 5. 양적완화란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3차 양적완화 시기 : 2012년 9월 ~ 시행 중 규모 : 매달 400억달러 → 850억달러(12년 12월) 매입대상 채권 : MBS(주택담보부증권) 2. 양적완화 긍정적인 효과 Part 3. 질의 응답 Q & A _NOTES_1_ 2 _NOTES_2_ 3 _NOTES_3_ -부동산시장 과열로 인한 무리한 주택담보대출(저금리) 실시 -부동산시장의 거품증가 정부의 금리조절(상승) -부동산시장 경색(가격 폭락) -거액의 대출금, 높은금리로 인한 상환금 증가 -사람, 기업 연쇄 파산.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질의 응답 Q & A _NOTES_1_ 2 _NOTES_2_ 3 _NOTES_3_ -부동산시장 과열로 인한 무리한 주택담보대출(저금리) 실시 -부동산시장의 거품증가 정부의 금리조절(상승) -부동산시장 경색(가격 폭락) -거액의 대출금, 높은금리로 인한 상환금 증가 -사람, 기업 연쇄 파산. 양적완화란 1.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양적완화 축소의 긍정적인 효과 1.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대응과제 금융시장 모니터링 강화 원화 가치의 상승 및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 선진국과 세계 경기 회복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추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 시장 금리 상승시 가계부채 부담으로 인한 내수 위축 가능성에도 대비 7. 양적완화 축소(출구전략) Part 5. 하지만 양적완화를 축소 하게되면 6. 양적완화 축소 4. 결론 및 Q&A Part 6. 양적완화 축소 출구전략 : 각종 완화정책 부작용 x → 서서히 거두어 들임 4. 평가 및 대응과제 평가 양적완화 축소 했을 시 국내 시장의 해외 자금 유입 확대 및 가격경쟁력 강화로 인한 수출증가라는 장점을 가져온다.. 양적완화란 양적완화란 중앙은행이 통화를 시중에 직접 공급해 경기불황을 해소하고, 경기를 활성화하는 통화정책 양적완화 배경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발생 -가계 부채증가, 실업률 증가, 은행 및 기업 연쇄파산 달러($) ← Key currency -양적완화를 통해 미국 국내 및 세계경제 활성화 도모 ⇒미 연방준비은행(FCB) 양적완화 시행(1, 2, 3차) 1. 양적완화 부정적인 효과 Part 7. 양적완화 축소 부정적 영향 양적완화로 인해 상승된 물가.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7. 양적완화 란 Part 2 양적완화 축소의 부정적인 효과 Part 4.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Quantitative Easing INDEX Part 1. 양적완화 축소 양적완화축소(출구전략)로 인한 우리나라 영향 4. 양적완화 부정적인 효과 Part 7. 그렇다면 경상수지 악화 상대국의 수출감소 수입증가 3. 양적완화 축소 양적 완화 축소 : 달러 공급중단 및 거두어 들임 Why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초래 4. 7. 양적완화 축소 4. 양적완화 부정적 영향 달러화 약세로 인한 수출증가 한국 제품 미국으로 수출 감소 3.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업로드 ZG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양적완화와 축소의 개념과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교 분석 Quantitative Easing INDEX Part 1. 양적완화 축소 양적 완화 축소 : 달러 공급중단 및 거두어 들임 Why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초래 4. 양적완화 축소의 긍정적인 효과 1. 양적완화 축소 긍정적 영향 BP곡선식으로 알아보는 금융부문과 실물부문 국제수지=경상수지 + 자본수지 BP=CA(X-Q) + KA(r-r’)=0 (균형) BP=CA(X-Q) + KA(r-r’ )`0 (적자) BP=CA(X-Q) + KA(r-r’)=0(균형) Or `0(흑자) BP=CA(X-Q) + KA(r-r’)`0(적자) BP=CA(X-Q) + KA(r-r’)=0(균형) .